구군포로 불리던 호계동이 옛 과천군 하서면 일대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었다.
처음 방문한 사람에게는 '여기가 정말 서울과 수원을 잇는 자리에 위치한 도시인가?'하는 의문이 들 수도 있다. 수원처럼 대기업이 들어선 적도 없을 뿐더러 안양동에 위치한 공단은 영세한 제조업 위주라서 대단히 낙후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90년대부터 진행된 평촌 일대 개발로 안양에 생활권을 유지하면서 돈 좀 있던 사람들은 모두 동안구 아파트촌으로 이동해서 슬럼화가 진행돼 버렸다. 만안구는 기껏해봐야 안양8동 일부가 산본신도시에 포함된 것이 전부였다.[8]
이제 여기도 낙후된 동네 좀 치워봐야 하지 않을까 싶을 시기에는 때마침 1990년대 말 IMF라든지 2008년 금융위기 따위가 터지는 통에 재개발은 엎어지기 일쑤였다. 그나마 가장 슬럼화가 심했던 덕천마을은 몇 번의 좌절 끝에 어찌어찌 래미안으로 재개발했다. 만안구 전체적으로 볼때 무엇보다 학군이 가장 발목을 잡는데, 안양의 괜찮은 고등학교인 신성고등학교, 안양외국어고등학교, 안양고등학교 등은 다 만안구에 있지만 그 외에는 보통 초등학교, 중학교 학군이 우수한 동안구에서 교육하다, 특목고&자사고 입학이 안되면 만안구에 있는 명문고등학교로 진학한다.
보통 "안양" 이라고 가리키는 경우 만안구=구도심, "평촌" 이라고 가리키는 경우 동안구=신도심 이라고 생각한다. 생각보다 지역구의 인식이나 여러 인프라 차이가 심해서 만안구를 빈촌으로 인식한다. 성남 본시가지와 분당구 관계와도 비슷하긴 한데, 안양동의 경우 상술한 덕천마을 문제가 해소돼서 그나마 좀 낫지만 박달동 쪽과 석수동 일부 구간은 동안구와 안양동의 관계와 비슷하게 광명 쪽으로 부자들이 빠지는 통에 슬럼화가 멈추질 않는 상황이며 박달동 부지가 워낙에 커 손대기도 힘든 상황이다.
그나마 석수동은 충훈부 재개발이 2023년 부활하면서 희망이 조금 생겼는데 박달동은 하수처리장이랑 쓰레기 매립지 문제가 해결이 안 되고 있다.
앞서 이야기한 것처럼 구 내에 경인교육대학교 경기캠퍼스, 안양대학교, 성결대학교, 대한신학대학원대학교, 연성대학교(구 안양과학대학) 등이 자리잡고 있으며 국군정보사령부가 위치해있다.
관심고객등록
경기도 안양시의 서부에 위치한 일반구. 1992년 안양시 구제 실시와 더불어 동안구와 같이 설치되었다. 구가 설치된 1992년 당시 안양은 갑·을 선거구로 나뉘어 있었는데, 이 중 갑 선거구 전역과 을 선거구의 안양 7·8동을 더해서 만안구로 편성되었다.
이름의 유래는 조선 정조가 하사한 다리 이름인 '만안교'로, 만안구 석수동에 위치한 돌다리이다. 안양의 서쪽이므로 '서안구(西安區)'도 검토되었으나[3], 정조의 애민(愛民) 및 부친에 대한 효심(孝心)을 기리기 위해 '만안구'로 정했다고 한다. 실제로 동안구에 대응하여 만안구 지역을 '서안양' 내지는 '서안'으로 부르는 경우도 종종 있다.[4] 구안양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먼저 석수동 및 박달동의 경우 원래 시흥군에 속했던 지역으로 광명시 및 서울특별시 금천구와 동계인 곳이다. 그래서 이 구의 박달동은 광명 및 시흥과 인접해 있다. 시흥시에 독자적 시흥경찰서가 생기기 전엔 광명경찰서와 안양서부경찰서(현 안양만안경찰서)가 치안업무를 맡아 주었다. 현재도 광명역이 있는 소하리 일대는 관습적으로 안양 소하리로 불리기도 한다.
서울-안산 간 진입 루트 중 영등포 쪽에서 진입할 경우 여기를 지나간다. 석수역 및 관악역을 지나고 박달동에서 광명시 시계로 넘어가 광명역을 거친 후 서독터널을 거쳐 시흥시 목감동으로 진입, 다시 목감에서 안산시 선부동으로 내려간다. 물론 보편적인 루트는 과천선을 따라 가는 과천-평촌-산본 경유 루트로 강남 및 서울 도심에서는 이렇게 간다.
안양동의 경우 표에도 나오듯, 원래 과천군에 속했던 지역으로 안양시 동안구 및 과천시, 군포시 금정동, 동안구 호계동과 동계인 곳이다. 이 구의 안양동은 군포시와 맞닿아있고, 안양천을 경계로 해 안양천만 넘으면 비산동으로 이어지며, 현재는 비산대교, 안일교 등이 놓여서 다리를 통해 이어진다. 도로교통이 발달한 현재는 과천을 통해서 비산동을 지나 안양동으로 이동이 가능하다.